전기공학19 dq축 인덕턴스 구하는 법 dq축 인덕턴스 구하는 법은 사실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실험으로 구할 것이냐, 유한요소해석과 같은 시뮬레이션으로 구할 것이냐에 따라서도 나뉘긴 하지만, 가장 실효성이 높은 방법은 벡터제어로 dq축 전류를 주입하면서 실제 구동하여 얻어내는 것입니다. 그러면 dq전류 좌표평면에서 좌표별로 dq인덕턴스를 각각 구해낼 수 있죠. (사실 IPMSM에서 실제 제어용 목적으로 구하려면 온도에 따라서 변하는 값도 구해야 해서 3차원 배열로 구해야 합니다) 이번에는 유한요소해석과 실험, 두 경우에 모두 적용가능한 측정법을 소개합니다. 하지만 먼저 이해를 위해서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구한다는 가정하에 설명을 드립니다. 1. 부하 운전 시뮬레이션을 합니다. dq축 인덕턴스를 얻고 싶은 dq 전류 좌표 지점을 위에서 처럼.. 2021. 1. 9.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PMSM)의 d, q축 자기회로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를 해석하고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 중 하나는 d축 및 q축 인덕턴스 입니다. 우선 d축 및 q축 인덕턴스가 무엇을 말하는지부터 설명할까요. 1. DQ축이란? 동기전동기에서는 회전자를 기준으로 d축과 q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D축은 Direct의 약자로 자속이 집중되는 축을 말하죠. Q축은 Quadrature의 약자입니다. Quadrature는 각도 90도를 의미하고 Direct축에서 90도만큼 반시계방향으로 앞서있다고 의미하기 위해서 Q축이라고 부릅니다.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achine : IPMSM)에서는 자석 한 극의 한 가운데 축을 D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극과 극 사이의 .. 2021. 1. 8. IGBT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 - TLP250 옵토커플러 게이트 드라이버는 스위치의 턴온과 턴오프를 훌륭하게 해내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턴온될 때는 드레인과 소스 또는 콜렉터와 이미터 양단 전압이 빠르게 내려가서 0V에 가깝게 내려가야 하고, 턴오프될 때는 양단 전압이 최대한 빠르게 상승해야 한다. 그래야지만, 스위칭 손실이 최소화되고, 전력전자 장치에서 발생되는 전압, 전류에 고조파 성분도 줄어든다. 물론 우리가 의도한 정확한 동작을 보장하는데도 중요하다. 하지만 게이트 드라이버 회로를 처음 설계한다면, 굉장히 골치아프다. 그 이유는 몇가지가 있는데, 밀러 효과 때문에 스위치가 일종의 증폭기로 동작해서, 스위치 내부에 존재하는 기생 캐패시턴스에 의한 임피던스도 증폭된다. 이 임피던스의 증폭이 게이트 드라이버가 '스위치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전류를 주입해.. 2021. 1. 3. 모터의 극 수에 따른 장점과 단점. 모터. 전동기는 극 수 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극 수가 늘어나면 어떤 면에서 유리하고 불리한 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여기서 말하는 극이라는 것은 자기장의 N극, S극을 말하는데요. 쉽게 말해서, 모터의 공극 사이에 분포되는 자기장의 N극, S극이 몇번 반복되냐에 따라서 모터의 극 수가 결정됩니다. 왼쪽의 권선형 동기전동기는 회전자에 권선을 감고 DC전류를 흘려서 회전자 자기장을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오른쪽 영구자석 동기전동기는 영구자석을 넣어서 회전자 자기장을 만들어내고요. 왼쪽의 그림이 더 직관적이죠? 권선을 감는 방향을 번갈아가면서 바꿔서 N극 S극이 교대로 발생하도록 합니다. 오른쪽의 그림에서는 영구자석의 삽입방향을 번갈아가면서 N극 S극을 만들어냅니다. 그러면 아래처럼 자속이 흐르게.. 2020. 12. 2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