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학19 BJT용 게이트 드라이버 (feat. 한기대 전력전자 실습) -2편 저번 글에 이어서 1. Isolation을 위한 포토 커플러 Photo Coupler(또는 Optocoupler) 이전 글에서 555 타이머와 NAND게이트들, 적분기와 비교기를 이용해서 가변저항으로 PWM 듀티비를 조작가능한 수동제어 회로를 만들었다. 이번에는 그 최종 신호인 PWM신호(가장 왼쪽의 포트 기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해서 전달하기 위해서 포토 커플러를 사용한다. Q7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신호를 연결해서 U8 소자의 발광다이오드에 전류가 충분히 흘러서 신호가 잘 전달되도록 증폭기로 설치한다. LED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신호는 크기는 중요하지 않고 듀티비만 잘 전달되면 된다. + 중간 중간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있는 커패시터는 노이즈 제거를 위한 목적이고 그 옆.. 2020. 11. 4. BJT용 게이트 드라이버 (feat. 한기대 전력전자 실습) -1편 이 글은 전기, 전자공학과 3학년 공린이의 수준에서 읽을 수 있도록 쓰여졌습니다. 이 글을 읽으실 때는 도중에 이해가 안되어도 쭉쭉 읽어보시길 권장드립니다. 오늘 다뤄볼 내용은 전력 스위치로 사용되는 세가지 주요 소자 BJT, MOSFET, IGBT 중에 BJT 용 게이트 드라이버 입니다. 예제로 다룰 내용은 한기대 전기과 3학년 전력전자 과목에서 다루는 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 스위치의 게이트 드라이버 제작 실습입니다. 사실 이거 하나만 읽으면 과제 끝난다. 게이트 드라이버가 '무엇'이며 '왜 필요'하고 '어디'에 쓰는 지를 모르신다면 아래 링크를 타고 슬쩍보고 오세요. BJT 같은 경우엔 전류 구동이기 때문에 게이트 드라이버의 역할도 단순히 전압만 증폭하는 것이 아닌 .. 2020. 10. 27. DQ변환. 그래 공식은 알겠는데 이게 무슨 의미야? + clarke 변환 주의!!) 이번 글은 이해하기 위해서 간단한 선형대수학(좌표변환 행렬)과 전기기기(유도기, 동기기)에 대한 선행지식이 필요합니다. 핵심요약은 가장 밑에 있습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vdeVVTltr1M 전기공학에서 DQ 변환은 4학년 이후의 전기기기, 전력전자, 전력계통에서는 자주 보게 되는 개념이에요. 저는 전기기기 설계가 전공이라서 학부연구생을 시작할 때, 머리를 쥐어 싸고 쳐다봤었죠. 그런데도 제대로 그 의미를 이해하는데는 1년 넘게 걸린 것 같아요. DQ 변환에 대해서 설명하는 아주 좋은 책들은 1. 전기기기 제어론 - 설승기 교수님 2. 고급전력전자공학 - 이교범 교수님 3. DC AC BLDC 모터 제어 - 김상훈 교수님 등이 있어요. 아주 좋은 책들이고 .. 2020. 10. 7. 이전 1 2 3 4 5 다음